
1. head( ) 데이터의 앞부분 출력하여 데이터 형태 확인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6행까지 출력한다. head(df) #df의 6행까지 출력 head(df, 10) #df의 10행까지 출력 2. tail( ) 데이터의 뒷부분을 출력한다. 마찬가지로 기본 6행까지 출력한다. tail(df) #뒤에서부터 6행 출력 tail(df, 10) #뒤에서부터 10행 출력 3. View( ) 뷰어 창에서 원자료를 직접 보여주는 기능. 실행 시 데이터 뷰어 창이 생성된다. View(df) 4. dim( ) 데이터 프레임이 몇 행, 몇 열로 되어있는지 알아볼 때 사용. 만약 출력 결과가 20 5 라면 20행 5열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. dim(df) #행, 열 출력 #예시 10행 2열 # [1] 10 2 5. s..
데이터 분석/R
2022. 1. 24. 20:26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baekjoon
- 자바스크립트
- 브루트 포스
- 고득점 키트
- 파이썬
- html
- 단계별로풀어보기
- jQuery
- 덱
- 장고
- Django
- CSS
- append
- brute force
- 스프링
- 프로그래머스
- 문자열
- bootstrap
- R
- Case When
- 백준
- javascript
- 큐
- jsp
- 자바
- web
- python
- Oracle
- Java
- 정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