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728x90
반응형
자바의 연산자는 다른 언어와 유사하므로, 예제만 살펴보고 넘어가겠다.
1. 산술연산자
package test.main;
public class MainClass08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num1 = 10;
String str = "abcde12345";
/*
* javascript에서는 함수를 호출한 그 위치는 반드시 어떤 값으로 바뀌지만
* java에서는 메소드를 호출한 그 위치는 어떤 값으로 바뀔 수도 있고 안 바뀔 수도 있다.
*/
int a = str.length();
char b = str.charAt(0);
String c = str.toUpperCase();
System.out.println("문자열의 길이: "+a);
System.out.println("index 0: "+b);
System.out.println(c);
System.out.println(str[5]);
}
}
2. 증감 연산자
package test.main;
/*
* 2. 증감 연산자 테스트
* 변수에 있는 숫자 값을 1씩 증가 혹은 1씩 감소 시킬때 사용한다.
* ++, --
*/
public class MainClass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num=0;
num++;
num++;
num++; // num 이 최종적으로 3이 된다.
int num2=0;
num2--;
num2--;
num2--; // num2 가 최종적으로 -3이 된다.
int num3=0;
int result1 = num3++; // result1 에 0 이 대입되고 num3 가 1 증가한다.
int num4=0;
int result2 = ++num4; // num4 가 1 증가하고 result2 에 1 이 대입된다.
}
}
3. 비교연산자
package test.main;
/*
* 3. 비교연산자 테스트
* 비교연산의 결과는 boolean type 을 리턴해준다.
* ==, !=, >, >=, <, <=
*/
public class MainClass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boolean result1 = 10 == 10; //true
boolean result2 = 10 != 10; //false
boolean result3 = 10 > 100; //false;
boolean result4 = 10 >= 10; //true
boolean result5 = 10 < 100; //true
boolean result6 = 10 <= 10; //true
// String type 변수 name 에 null 대입하기
String name=null;
// null 인지 아닌지 비교가 가능하다 (즉 java 에서 null 값은 비교가 가능)
boolean result7 = name == null; //true
boolean result8 = name != null; //false
}
}
4. 논리연산자
package test.main;
/*
* 4. 논리연산자 테스트
*/
public class MainClass04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or 연산
boolean result1 = false || false; //false
boolean result2 = false || true; //true
boolean result3 = true || false; //true
boolean result4 = true || true; //true
// and 연산
boolean result5 = false && false; //false
boolean result6 = false && true; //false
boolean result7 = true && false; //false
boolean result8 = true && true; //true
// not 연산
boolean result9 = !true; //false
boolean result19 = !false; //true
boolean isRun=false;
if(isRun != true){
System.out.println("달리지 않아요");
}
if(!isRun){
System.out.println("달리지 않아요2");
}
}
}
5. 논리연산자
package test.main;
/*
* 5. 대입연산자 테스트
*
* +=, -=, *=, /=, %=
*/
public class MainClass05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num=10;
//num = num+2;
num += 2;
//num = num-3;
num -= 3;
//num = num*4;
num *= 4;
//num = num/5;
num /= 5;
//num = num%6;
num %= 6;
}
}
6. 3항 연산자
package test.main;
/*
* 6. 3항 연산자 테스트
*/
public class MainClass06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boolean isWait=false;
// isWait 이 true 면 "기다려요" 가 대입되고 false 면 "기다리지 않아요" 가 대입된다.
String result = isWait ? "기다려요" : "기다리지 않아요";
System.out.println(result);
//위의 3항 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if ~ else 문과 같은 로직이다.
String result2=null;
if(isWait) {
result2="기다려요";
}else {
result2="기다리지 않아요";
}
System.out.println(result2);
}
}
반응형
'development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생성자 Constructor (0) | 2021.11.02 |
---|---|
[Java] Method / 오버로딩, 여러 타입의 인자를 매개변수로 가지는 method (0) | 2021.11.02 |
[Java] Class #2 - static (0) | 2021.11.02 |
[Java] Class #1 - Data type의 역할 / 객체의 설계도 역할 (0) | 2021.10.31 |
[Java] 자바의 DataType (0) | 2021.10.31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큐
- Java
- 자바스크립트
- 정렬
- 백준
- 덱
- 프로그래머스
- jQuery
- web
- CSS
- Case When
- bootstrap
- 고득점 키트
- 스프링
- append
- 자바
- javascript
- Oracle
- 브루트 포스
- baekjoon
- brute force
- R
- Django
- 파이썬
- 문자열
- 장고
- jsp
- html
- 단계별로풀어보기
- pyth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