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1. 교환회선과 전용 회선

(1) 공중 통신망 (PSDN)

- 사용범위 넓음, 보편적, 공평한 서비스 제공

- 회선 공유 -> 효용도 높고 회선 비용 줄일 수 있음

- 데이터, 사용시간 적을 때 good

- 회선 교환방식 & 축적 교환방식 

 

(2) 폐역 통신망

- 전송속도 빠름, 오류 적음

- 간단

- 데이터, 사용시간 많을 때 good

 

2. 데이터 교환 방식

(1) 회선 교환 (Circuit Switching)

예시 : 전화선

- 실시간 전송 가능, 접속에는 긴 시간 

- 오류제어, 흐름제어 가능 (사용자에 의해)

- 데이터 전송 없어도 연결 유지 -> 회선 낭비

- 데이터 대량, 길 때 적합

 

(2) 축적 교환 (Store and Forward)

- 데이터 축적 -> 경로 선정 

- 실시간 x

- 회선 효율성 높일 수 있음

- 하나의 회선 통해 여러 메시지 공유 가능 

- 설계비용 저렴

- 메시지 교환(이메일) : 실시간 x, 동시 운영 아니어도 전송 가능, 여러 지점에 동시 전송 가능  

- 패킷 교환 : 회선교환망 + 메시지 교환망 

  - 실시간 O, 경로 우회 가능, 데이터 전송에 적합

  - 데이터그램 방식: 경로 설정 x -> 목적지의 완전한 주소 필수, 융통성 O, 짧은 데이터 전송에 good 

  - 가상회선 방식: 안정성, 신뢰성 / 송수신 순서 동일

 

3. 회선 구성

- 점대점

- 멀티 포인트 : 한 회선에 여러개의 단말 접속 -> 경제적, 송신 1, 수신 여러개 가능

- Concentrator : 축적 -> 고속 전송 =>효율 증대

 

4. 네트워크 구성

- 성형 : 변경 확장 어려움 

- 트리형 : 허브 필요, 변경 및 확장 용이

- 버스형 : 전송회선 단절 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 , 터미네이터 필요

- 링형 : FDDI

- 망형 

 

5. 단말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결합 방식

(1) Simplex System : 각 장치가 1대

(2) Duplex System : 두개의 중앙처리장치, 하나는 대기

(3) Dual System : 두 시스템이 완전 동일한 처리 동시 수행

 

  

   

반응형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