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분석/R

[R] 데이터를 파악할 때 사용되는 함수들 / head(), tail(), View(), dim(), str(), summary()

Happyoon ~ 2022. 1. 24. 20:26
728x90
반응형

1. head( )

데이터의 앞부분 출력하여 데이터 형태 확인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6행까지 출력한다. 

head(df) #df의 6행까지 출력
head(df, 10) #df의 10행까지 출력

 

2. tail( )

데이터의 뒷부분을 출력한다. 마찬가지로 기본 6행까지 출력한다.

tail(df) #뒤에서부터 6행 출력
tail(df, 10) #뒤에서부터 10행 출력

 

3. View( )

뷰어 창에서 원자료를 직접 보여주는 기능. 실행 시 데이터 뷰어 창이 생성된다.

View(df)

 

 

View(mtcars) 시 확인할 수 있는 모습

4. dim( )

데이터 프레임이 몇 행, 몇 열로 되어있는지 알아볼 때 사용. 

만약 출력 결과가 20 5 라면 20행 5열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.

dim(df) #행, 열 출력
#예시 10행 2열
# [1] 10 2

 

5. str( )

데이터에 들어있는 변수들의 속성을 보여준다. 모든 변수의 속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. 

str(df)

 

str(mtcars) 결과

6. summary( )

요약 통계량을 산출하는 함수이다. 다음은 summary(mtcars)의 결과이다.

 

Min : 최솟값

1st Qu: 1사분위수

Median: 중앙값

Mean: 평균

3rd Qu: 3사분위수

Max: 최댓값


[출처]

Do it! 쉽게 배우는 R 데이터 분석

반응형